|
|
|
|
기업 Business & Enterprise
HOME 잡코리아 사람인 워크넷 인크루트 재벌닷컴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10대 대기업 집단 지정 현황 (자료: 공정거래위원회, 2002년 ~ 2016년 공기업 포함)
|
|
|
순위 |
1997년 |
2002년 |
2007년 |
2012년 |
2017년 |
2022년 |
1 |
현대 |
한국전력공사 |
삼성
|
삼성
|
삼성
|
삼성
|
2 |
삼성 |
삼성
|
한국전력공사
|
한국전력공사
|
현대차
|
SK
|
3 |
LG |
LG
|
현대차
|
한국토지주택공사
|
SK
|
현대차
|
4 |
대우 |
SK
|
SK
|
현대차
|
LG
|
LG
|
5 |
SK |
현대차 |
LG
|
SK
|
포스코
|
롯데
|
6 |
쌍용 |
KT |
한국주택공사
|
LG
|
GS
|
포스코
|
7 |
한진 |
한국도로공사 |
롯데
|
롯데
|
한화
|
한화
|
8 |
기아 |
한진 |
한국도로공사 |
포스코
|
현대중공업 |
GS
|
9 |
한화 |
포항제철 |
포스코 |
현대중공업 |
농협 |
현대중공업 |
10 |
롯데 |
롯데
|
한국토지공사 |
GS |
신세계 |
농협 |
|
|
|
|
|
|
2023년 국가 예산 ( 639.0조 지출 전년 대비 +5.2%) 참고자료: 서울시 2023년 예산 47조 1905억원 |
|
|
보건,복지,고용 226.6조 (+1.4%) |
일반,지방행정 111.7조(+13.9%) |
교육 96.1조(+14.2%) |
국방 57.1조 (+4.6%) |
R&D 30.7조 (+3.0%) |
산업, 중소기업, 에너지 25.7조(-18%) |
SOC 25.1조 (-10.2%) |
농림수산식품 24.2조 (+2.4%) |
공공,질서, 안전 22.9조 (+2.4%) |
환경 12.4조 (+3.9%) |
문화체육관광 8.5조 ( -6.5%) |
통일,외교 6.4조 (+7.3%) |
교부세 75.2조 |
공적연금 71.3조 |
교부금 77.2조 |
한국형 3축 5.2조 |
도로 7.7조 |
철도 7.7조 |
창업.벤처 3.6조 |
무공해차 2.7조 |
|
|
|
|
|
|
무역흑자상대국 (2022년은 1월 ~10월 합계)
|
|
|
순위 |
1 |
2 |
3 |
4 |
5 |
2021년 |
홍콩 |
베트남 |
중국 |
미국 |
인도 |
2022년 |
베트남 |
미국 |
홍콩 |
싱가포르 |
인도 |
|
|
|
|
|
|
무역적자상대국 (2022년은 1월 ~10월 합계)
|
|
|
순위 |
1 |
2 |
3 |
4 |
5 |
2021년 |
일본 |
호주 |
사우디 |
카타르 |
독일 |
2022년 |
사우디 |
호주 |
일본 |
카타르 |
독일 |
|
|
|
|
|
|
각 국의 기술수준 (정보통신기획평가원, 2021. 1월)
|
|
|
미국 |
유럽 |
중국 |
한국 |
일본 |
100 |
93.3 |
91.5
|
88.6 |
88.4 |
|
|
|
|
|
|
글로벌 반도체산업 종합 경쟁력지수 (기준 100, 자료: 산업연구원 2022년 12월) |
|
|
국가 |
미국 |
대만 |
일본 |
중국 |
한국 |
유럽연합 |
경쟁력지수 |
100 |
79 |
78 |
74 |
71 |
66 |
|
|
|
|
|
|
글로벌 반도체 지원법 |
|
|
국가 |
이름 |
지원규모 |
미국 |
반도체칩. 과학법 |
2800억달러 (약 370조 규모) |
중국 |
중국제조 2025 |
1조 위안 (약 187조원) |
유럽연합 |
유럽반도체 지원법 |
450억유로 (약 62조원) |
일본 |
경제안보법 |
7740억엔 (약 8조원) |
|
|
|
|
|
|
세계 주요반도체기업의 법인세 및 법인세 부담율 |
|
|
삼성전자 |
25.2% (법인세부담율) |
112억 8680만 달러 (법인세) |
하이닉스 |
28.3% |
31억 9000만 달러 |
TSMC (대만) |
10.0% |
23억 8350만 달러 |
인텔 (미국) |
8.5% |
18억 3500만 달러 |
퀄컴 (미국) |
13.4% |
15억 4800만 달러 |
마이크론 (미국) |
7.1% |
5억 6200만 달러 |
SMIC (중국) |
3.5% |
6520만달러 |
자료: SP capital IQ,전국경제인연합회(삼성전자는 반도체, 모바일, 가전포함) 한국 매출대비 순이익률 1.9% 감소, 미국 3.9% 상승, 일본 2.0%상승, 대만 1.1%상승
|
|
|
|
|
|
|
국내외 반도체 기업의 투자 |
|
|
삼성전자 (한국) |
올해 2022년 시설투자 54조 계획 (반도체 47조 7000억원), 설비투자 세액공제 8% |
SK 하이닉스 (한국) |
2023년 시설 투자 올해(약 17조 원) 보다 50% 감축 계획 |
TSMC (대만) |
미국내 반도체투자 120억 달러에서 400억 달러로, 2026년 가동 목표 미국내 3nm급 반도체 2공장 설립 발표 반도체R&D 세액공제 25% |
인텔 (미국) |
애리조나 반도체 공장 건설에 300억 달러 투자 발표, 설비투자 세액 공제 25% |
SMIC (중국) |
올해 설비투자액 기존 50억 달러에서 66억 달러로 증액, 첨단기술투자 법인세 면제 |
|
|
|
|
|
|
한. 중 주요 ICT 수준 차이 (2020년 기준: 정보통신기획평가원) ICT 평균 중국우세 0.3년
|
|
|
인공지능 |
사물인터넷
|
자율주행자동차 |
클라우드 |
빅데이터
|
중국우세 0.5년 |
한국우세 0.2년
|
중국우세 0.7년 |
중국우세 0.1년 |
중국우세 0.5년
|
스마트농업 |
지능형반도체 |
양자정보통신 |
탄소중립대응(환경.기상) |
블록체인
|
한국우세 2년 |
중국우세 0.4년 |
중국우세 1.5년 |
한국우세 0.9년 |
중국우세 0.3년
|
|
|
|
|
|
|
중국과 핵심 과학기술 격차 (자료: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) |
|
|
구분 |
2010년 |
2020년 |
반도체 |
한국이 4년 우세 |
한국이 0.5년 우세 |
이동통신 |
한국이 2.3년 우세 |
중국이 2.5년 우세 |
시스템 소프트웨어 |
한국이 2.0년 우세 |
중국이 1.0년 우세 |
스마트 선박 |
한국이 5.4년 우세 |
한국이 1.0년 우세 |
건설 교통 |
한국이 3.8년 우세 |
한국이 0.6년 우세 |
재난 안전 |
한국이 2.5년 우세 |
한국이 0.4년 우세 |
우주 항공 |
중국이 0.1년 우세 |
중국이 3.5년 우세 |
기계 제조 |
한국이 8.2년 우세 |
한국이 0.3년 우세 |
소재 나노 |
한국이 2.5년 우세 |
한국이 0.7년 우세 |
농림 수산 식품 |
한국이; 2.2년 우세 |
한국이 0.4년 우세 |
바이오 의료 |
한국이 2.5년 우세 |
중국이 0.1년 우세 |
에너지 자원 |
한국이 2.4년 우세 |
중국이 0.2년 우세 |
환경 기상 |
한국이 3.3년 우세 |
한국이 0.9년 우세 |
ICT SW |
한국이 2.5년 우세 |
한국이 0.3년 우세 |
|
|
|
|
|
|
국가별 논문 피인용지수 |
|
|
구분 |
2001년 |
2002 |
2003 |
2004 |
2005 |
2006 |
2007 |
2008 |
2009 |
2010 |
1 |
미국 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2 |
영국 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3 |
독일 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중국
|
중국
|
4 |
일본 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독일
|
독일
|
5 |
프랑스 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6 |
캐나다 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7 |
이탈리아 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중국
|
중국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8 |
호주 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9 |
네덜란드
|
호주
|
호주
|
네덜란드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10 |
스페인 |
스페인
|
중국
|
호주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스페인
|
11 |
스위스 |
중국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네덜란드
|
12 |
스웨덴 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13 |
중국 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인도
|
인도
|
인도
|
인도
|
14 |
벨기에 |
벨기에
|
한국 |
한국
|
인도
|
인도
|
스웨덴
|
한국
|
한국
|
한국
|
15 |
인도 |
인도
|
인도
|
인도
|
한국
|
한국
|
한국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|
|
|
|
|
|
국가별 논문 피인용지수
|
|
|
구분 |
2011 |
2012 |
2013 |
2014 |
2015 |
2016 |
2017 |
2018 |
2019 |
2020 |
1 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미국
|
중국
|
2 |
중국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중국
|
미국
|
3 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영국
|
4 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독일
|
5 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6 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7 |
일본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이탈리아
|
캐나다
|
호주
|
프랑스
|
프랑스
|
프랑스
|
8 |
이탈리아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호주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캐나다
|
9 |
호주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일본
|
인도
|
인도
|
인도
|
10 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스페인
|
일본
|
스페인
|
스페인
|
11 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인도
|
인도
|
스페인
|
일본
|
일본
|
12 |
스위스
|
인도
|
인도
|
인도
|
인도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네덜란드
|
13 |
인도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한국
|
한국
|
한국
|
한국
|
스위스
|
14 |
한국
|
한국
|
한국
|
한국
|
한국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스위스
|
한국
|
15 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스웨덴
|
이란 |
이란
|
|
|
|
|
|
|
세계경제순위 변화전망 (자료: 골드만삭스 글로벌 투자 리서치)
|
|
|
순위 |
1980년 |
2000년 |
2022년 |
2050년 |
2075년 |
1 |
미국 |
미국 |
미국 |
중국 |
중국 |
2 |
일본 |
일본 |
중국 |
미국 |
인도 |
3 |
독일 |
독일 |
일본 |
인도 |
미국 |
4 |
프랑스 |
영국 |
독일 |
인도네시아 |
인도네시아 |
5 |
영국 |
프랑스 |
인도 |
독일 |
나이지리아 |
6 |
이탈리아 |
중국 |
영국 |
일본 |
파키스탄 |
7 |
중국 |
이탈리아 |
프랑스 |
영국 |
이집트 |
8 |
캐나다 |
캐나다 |
캐나다 |
브라질 |
브라질 |
9 |
아르헨티나 |
멕시코 |
러시아 |
프랑스 |
독일 |
10 |
스페인 |
브라질 |
이탈리아 |
러시아 |
영국 |
11 |
멕시코 |
스페인 |
브라질 |
멕시코 |
멕시코 |
12 |
네덜란드 |
한국 |
한국 |
이집트 |
일본 |
13 |
인도 |
인도 |
호주 |
사우디아리비아 |
러시아 |
14 |
사우디아라비아 |
네덜란드 |
멕시코 |
캐나다 |
필리핀 |
15 |
호주 |
호주 |
스페인 |
나이지리아 |
프랑스 |
|
|
|
|
|
|
세계 원유매장량과 생산량 (자료 : 2022년 OPEC 연감) |
|
|
국가 |
원유매장량 (억 배럴) 2021년 기준 |
국가 |
원유 1일 생산량 (만 배럴) |
1. 베네수엘라 |
3034 |
1. 미국 |
1118 |
2. 사우디아라비아 |
2671 |
2. 러시아 |
961 |
3. 이란 |
2086 |
3. 사우디아라비아 |
912 |
4. 이라크 |
1450 |
4. 이라크 |
397 |
5. 아랍에미리트 |
1111 |
5. 중국 |
396 |
6. 쿠웨이트 |
1015 |
6. 브라질 |
290 |
7. 러시아 |
800 |
7. 아랍에밀리트 |
271 |
8. 리비아 |
483 |
8. 쿠웨이트 |
241 |
9. 미국 |
388 |
9. 이란 |
239 |
10. 나이지리아 |
370 |
10. 노르웨이 |
177 |
|
|
|
|
|
|
|
|
|
2022년 기준 세계 20대 강국 (자료: US뉴스 & 월드리포트) |
|
|
순위 |
국가명 |
인구 |
수도 |
비고 |
1위 |
미국 |
3억 3200만 명 |
워싱턴 |
현재 세계 최강국, 기술, 경제, 군사력 최강, 달러 발행국 |
2위 |
중국 |
14억 1400만 명 |
베이징 |
세계 1위 인구 와 큰 영토, 급성장, 최첨단 기술력에서 미국에 열세 |
3위 |
러시아 |
1억 4300만 명 |
모스코바 |
세계 1위 영토, 천연자원 풍부, 농업강국, 강한 군사력, 일부과학기술 발달 |
4위 |
독일 |
8310만 명 |
베를린 |
유럽경제 1위, 다분야 산업 발달 , 최근 에너지 문제 |
5위 |
영국 |
6730만 명 |
런던 |
금융강국, 영연방, G7, 유엔상임이사국, 핵보유 최전성기 세계 영토 1/4 보유 |
6위 |
대한민국 |
5170만 명 |
서울 |
작지만 강한 경제력과 군사력, 무역부문 강세, 반도체강국, K팝, K드라마 |
7위 |
프랑스 |
6750만 명 |
파리 |
EU중 가장 넓은영토, G7, 유엔상임이사국, 핵보유, 문화예술 등 전산업 발달
|
8위 |
일본 |
1억 2600만명 |
도쿄 |
20세기 아시아 경제대국, 1980년 후반 버블 경제 붕괴 이후 내림세 |
9위 |
U.A.E |
999만 명 |
아부다비 |
중동의 허브 풍부한 석유자원으로 오일머니 축적, 항공, 해운, 관광 등 발달 |
10위 |
이스라엘 |
936만 명 |
예루살렘 |
세계 곳곳의 유대자본의 힘이 막강, 강력한 군사력과 첨단기술력 보유 |
11위 |
사우디아라비아 |
3530만 명 |
리야드 |
풍부한 석유자원, 오일머니 축적, 빠른 속도의 경제, 사회 계혁 중 |
12위 |
캐나다 |
3820만 명 |
오타와 |
세계 2위 영토, 풍부한 천연자원, 농업강국, 인구 80% 남동부 거주 |
13위 |
인도 |
14억 명 |
뉴델리 |
세계 2위 인구, 면적 7위, 다양한 천연자원, 빈부격차 심한 편, 힌두교 80% |
14위 |
우크라이나 |
4380만 명 |
키이우 |
농업강국, 천연자원 풍부, 러시아와 전쟁으로 국방력, 외교력 강화 중 |
15위 |
이탈리아 |
5910만 명 |
로마 |
G7 경제대국, 고부가가치 산업 발달, 정치적 불안정, 로마제국의 후예 |
16위 |
호주 |
2570만 명 |
캔버라 |
천연자원 풍부, 농업, 어업, 관광 분야 발달 |
17위 |
튀르키예 |
8500만 명 |
앙카라 |
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통로 위치, 오스만 제국의 후예, 최근 경제적인 위기 |
18위 |
이란 |
8500만 명 |
테헤란 |
풍부한 천연자원, 넓은 영토, 반미노선으로 국제적인 고립 |
19위 |
스페인 |
4730만 명 |
마드리드 |
강력한 해양국가, 무적함대, 16세기 세계 열강, 10억 명 이상의 스페인어 사용 |
20위 |
스위스 |
870만 명 |
베른 |
IOC, FIFA, WTO, ILO 등 국제기구 본부가 많음, 국민소득 최상위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때를 맞추어 씨앗을 뿌리고 거름도 주며 가꾸어야 좋은 결실을 볼 수 있다. |
|
|
이러한 노력없이 좋은 결실만 바란다면 날강도나 도둑놈의 심보에 다르지 않다. |
|